사회이런저런

본사가 강하고, 가맹점은 약하다

shark-tank 2025. 6. 2. 16:45
728x90
반응형
SMALL

프랜차이즈 사업의 가장 큰 구조적 특징은
본사는 ‘수수료’ 중심의 수익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입니다.

  • 본사는 로열티 / 물류 마진 / 광고비 분담 등으로 안정적인 수익 확보
  • 반면, 가맹점은 현장 운영 리스크 전부를 떠안음
  • 매출이 낮아도 본사는 로열티를 받고, 점주는 적자에 허덕이는 구조

👉 더본코리아도 가맹점과 물류, 광고비 분담 문제로 비판받았어요.


💸 02. 광고·할인 프로모션 비용, 누가 내나?

많은 본사들은 배달 앱 할인, 오프라인 이벤트 등을 진행하지만
비용은 대부분 가맹점과 절반씩 부담합니다.

예: 3,000원 할인 행사 시 → 점주 1,500원 + 본사 1,500원
→ 이 금액이 쌓이면 분담금만 수천만 원

하지만 문제는,
👉 할인은 본사 이미지 제고에 유리하고
👉 손해는 가맹점주가 고스란히 보는 경우가 많다는 점


📦 03. 본사 공급 제품 문제, 점주는 '을'일 뿐

더본코리아 사태에서도 나온 문제 중 하나는
'빽햄' 품질 논란이나 감귤맥주 알코올 표시 누락과 같은
본사 책임이 점주 신뢰도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점입니다.

  • 점주는 자체 제품을 판매할 수 없고
  • 본사 제품에 의존해야 하며
  • 문제 발생 시 소비자 클레임은 매장에 몰림

🧱 04. 가맹점 목소리는 닿기 어렵다

많은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
본사 정책은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• 메뉴 가격, 구성, 홍보 전략 등은 본사가 통보
  • 점주는 이의를 제기하기도 어렵고
  • 개별 사정은 반영되지 않음

이번에 더본코리아가 추진 중인 상생위원회
바로 이런 구조를 개선해보려는 첫 시도라고 볼 수 있어요.


🧭 우리는 어떤 시각으로 봐야 할까?

프랜차이즈 사업은 ‘브랜드’라는 안정성과
‘본사 책임’이라는 무게감이 균형을 이뤄야
합니다.

하지만 현실은,
본사는 상표와 시스템만 제공하고 책임은 회피하고,
점주는 투자와 리스크를 짊어진 채 본사에 종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
✍️ 마무리 – 프랜차이즈 구조, 바뀔 수 있을까?

  • 더본코리아는 그간의 위기를 계기로 구조 개편을 시도 중입니다.
  • 하지만 모든 프랜차이즈가 반성하고 바뀌지 않는 이상,
    이런 사태는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.
728x90
반응형
LIST